내공얌냠 2023. 5. 5. 14:51
  • 문자열에서 검색을 빠르게 도와주는 자료구조
  • 정수형 이진탐색트리는 O(logN), 문자열에서는 최대길이 M일 때 O(M*logN). 트라이 활용 시,  O(M) 가능
  • 자동완성기능, 사전 검색 등 문자열 탐색에 특화됨
  • trie == radix tree = prefix tree == retrieval tree
  • 각 노드에서 자식들에 대한 포인터들을 배열로 저장하고 있어서 저장공간이 크다.
  • Node = key + data + child
  • L : 총 문자열의 수, M : 제일 긴 문자열의 길이일 때,
    • 생성 : O(L*M)
    • 탐색 : O(M)

References

https://github.com/gyoogle/tech-interview-for-developer/blob/master/Computer%20Science/Data%20Structure/Trie.md

 

GitHub - gyoogle/tech-interview-for-developer: 👶🏻 신입 개발자 전공 지식 & 기술 면접 백과사전 📖

👶🏻 신입 개발자 전공 지식 & 기술 면접 백과사전 📖. Contribute to gyoogle/tech-interview-for-developer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.

github.com

https://velog.io/@kimdukbae/%EC%9E%90%EB%A3%8C%EA%B5%AC%EC%A1%B0-%ED%8A%B8%EB%9D%BC%EC%9D%B4-Trie

 

[자료구조] 트라이 (Trie)

트라이(Trie)는 문자열을 저장하고 효율적으로 탐색하기 위한 트리 형태의 자료구조이다.우리가 검색할 때 볼 수 있는 자동완성 기능, 사전 검색 등 문자열을 탐색하는데 특화되어있는 자료구조

velog.io

 

728x90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