내공얌냠 2023. 5. 9. 19:16
  • 같은 레벨의 모든 키값들이 정렬됨
  • 같은 레벨의 sibling node는 연결리스트 형태로 연결되어있음
  • 모든 leaf node는 연결리스트로 연결되어 있음
  • 키값 중복 X, 탐색 유리
  • 블럭 사이즈를 더 많이 이동할 수 있음(key 값에 대한 하드디스크 주소 X)
  • 그러나 무조건 leaf node 까지 내려가야함
  • 삽입, 삭제 모두 leaf node에서 이루어짐
  • 모든 leaf node는 같은 레벨
  • leaf node가 아닌 node의 키 값의 수는 그 노드의 서브트리수-1

단말 노드 <> 비단말 노드

  • 인덱스 노드 : leaf node가 아닌 자료, value값에 다음 노드를 가리키는 포인터 주소 존재
  • 데이터 노드 : lead node 자료, value값에 데이터가 존재

 

References

https://ssocoit.tistory.com/217

 

[자료구조] 간단히 알아보는 B-Tree, B+Tree, B*Tree

위 글을 보고 정리를 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. 가슴이 시키네요;; 그렇다면 바로 B-Tree, B*Tree, B+Tree의 특징에 대해서 알아봅시다. 목차 0. 이진트리 B-Tree, B*Tree, B+Tree에 대해서 알아보자면서 갑자

ssocoit.tistory.com

https://sdesigner.tistory.com/79

 

B-Tree & B+ Tree 자료구조 알아보기

본 포스팅은 jisikTank 스터디에 참여하며 정리한 문서입니다. jisikTank CS지식 Git Repository B-Tree & B+ Tree 이진 트리는 하나의 부모가 두 개의 자식밖에 가지질 못하고, 균형이 맞지 않으면(skewed Tree) 검

sdesigner.tistory.com

 

728x90
반응형